시약
- 노말헥산(n-hexane, C6H13, 분자량 : 86.18)
- 메틸오렌지(0.1 %): 메틸오렌지 0.1 g + 정제수 → 100 mL 부피플라스크
- 무수황산나트륨(sodium sulfate anhydrous, Na2SO4, 분자량 : 142.04)
- 염산(1 + 1): 염산 50 mL + 정제수 50 mL
시료의 전처리
황산마그네슘 컬럼
안지름 10 mm, 길이 150 mm의 콕이 부착된 유리관에 유리섬유(석영섬유)를 깔고 120 ∼ 130 mm 높이로 활성규산마그네슘을 기포가 혼입되지 않도록 노말헥산과 함께 충전한다.
※ 활성규산마그네슘은 입경 150 ∼ 250 μm로서 사용 전에 노말헥산으로 씻고 150 ℃로 약 2시간 가열한 후 진공건조용기에서 식힌 것을 사용한다.
실험방법
총 노말헥산추출물질
시료 적당량 + 메틸오렌지용액 3방울
↓황색⇝적색으로 변할 때 까지
염산(1+1)을 넣는다.
*pH 4이하로 조절
↓
시료의 용기는 노말헥산 20 mL씩 2회 씻은 액을 분별깔때기에 합한다.
↓
마개로 닫아 세게 흔든다(2min)
↓
시료용기를 씻은 노말헥산 20 mL를 넣어 흔들어 노말헥산층을 분리
↓
앞의 노말헥산층과 합한다.
↓
정제수 20mL, 수회 씻어준 후 수층을 버린다.
↓
노말헥산층에 무수황산나트륨을 수분이 제거될 만큼 넣어 수분을 제거한다.
↓
분별깔때기의 꼭지부분에 건조여과지를 사용하여 여과
노말헥산을 항량으로 하며 무게를 미리 단 증발용기에
넣고 분별깔때기에 노말헥산 소량을 넣어 씻어 준 다음
여과하여 증발용기에 합한다.
↓
증발용기가 알루미늄박으로 만든 접시를 80 ℃로 유지한 전기 열판 넣어 30분간 노말헥산을 증발시킨다.
↓
실리카겔 데시케이터에 넣어 30분간 방치하여 냉각한 후 무게 측정한다.
총 노말헥산추출물질 중 광유류
총 노말헥산추출물질의 무게를 측정한 증발용기에 잔류물이 남지 않도록
노말헥산으로 녹여 100mL 부피플라스크에 합한다.
↓
활성규산마그네슘 컬럼에 처음 유출액 약 20mL는 버리고, 남은 유출액 50mL를 1.2mL/분의 속도로 통과시켜 위의 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실험한다.
계산식
총 노말헥산추출물질(mg/L) = (a - b) × 1000/V
a : 시험전후의 증발용기의 무게(mg)
b : 바탕시험 전후의 증발용기의 무게(mg)
V : 시료의 양(mL)
노말헥산추출물질 중 광유류(mg/L) = (a – b) × 100/50 × 1000/V
a : 유출액 중의 노말헥산추출물질의 무게(mg)
b : 바탕시험에 의한 잔류물의 무게(mg)
V : 시료의 양(mL)
노말헥산추출물질 중 동∙식물유지류
총 노말헥산추출물질 중 동∙식물유지류(mg/L) = a – b
a : 총 노말헥산추출물질의 양(mg/L)
b : 총 노말헥산추출물질 중 광유류의 양(mg/L)
시험 시 주의사항
- 노말헥산추출물질이 5mg 이상 되도록 시료를 채취한다.
- 보통 수세에 의하여 헥산층은 현탁물질이 제거되어 투명하게 되지만 투명한 헥산층을 분리하기 어려울 때는 염화나트륨 또는 황산나트륨을 가한다. 다시 투명하게 되지 않을 때는 24시간 방치한다. 시약을 많이 가한 경우는 수층을 분리한 후 재차 물로 여러 번 헥산층을 세정한다.
- 현탁물질을 다량으로 함유한 물에서 유분을 추출하는 경우는 현탁물질이 추출물에 들어 있으므로 여과하여 제거한다.
- 본법에서는 불휘발성 유분을 측정대상으로 하므로 80℃ 이하에서 휘발하는 경질의 탄화수소는 측정되지 않는다.
- 헥산의 증발용기는 질량이 적은 것을 사용하여 평량오차를 작게 해야 할 필요가 있다. 이 때문에 경량의 알루미늄제 용기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. 증발 플라스크 등을 사용할 경우에는 헥산이 소량으로 된 시점에서 옮기는 것이 바람직하다.
'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_SOP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페놀류-자외선/가시선 분광법 (0) | 2024.11.03 |
---|---|
시안-자외선/가시선 분광법 (0) | 2024.11.02 |
총 질소-자외선/가시선 분광법-산화법 (Total Phosphorus-UV/Visible Spectrometry-Oxidation Method) (0) | 2024.11.01 |
ABS 음이온계면활성제 (자외선/가시선 분광법) (0) | 2024.10.30 |
물벼룩을 이용한 급성 독성 시험법(Feat. 생태독성) (0) | 2024.10.29 |